[이투데이] 디스크 척추관협착증 등 척추질환, 추나요법으로 개선할 수 있어

학업이나 직장 업무로 인해 앉아 있는 시간이 긴 현대인의 경우,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업무를 보는 만큼 목이나 허리가 뻐근해지고 피로감을 쉽게 느낄 수 있다. 또 구부정한 자세로 책을 읽고 모니터를 보는 등 일상생활의 잘못된 습관이 이어지면 목과 허리의 부담이 커진다.

잘못된 자세의 지속으로 목과 허리에 부담이 커진다면 통증을 불러일으키는 것뿐만 아니라, 디스크라고 불리는 추간판탈출증과 퇴행성척추질환(척추관협착증), 척추측만증 등 다양한 척추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먼저 추간판탈출증은 지속적인 압박으로 퇴행한 상태에서 무리하거나 외부 자극을 받아 척추와 척추 사이에 있는 디스크 내의 수핵이 탈출하는 질환을 일컫는다. 빠져나온 수핵이 신경근 또는 척수를 누르면서 통증과 저림, 감각이상 등을 느끼게 한다.

이어 퇴행성척추질환인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진 상태를 말한다. 척추관이란 앞으로는 척추뼈의 앞부분인 추체, 추간판, 뒤로는 척추뼈의 뒷부분인 추궁판으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이다. 이 척추관이 좁아지면 신경이 눌리고, 이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추간판탈출증은 물론 척추관협착증 등 척추질환은 한의원의 한약, 침, 약침, 추나요법 등의 치료 방법으로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다.

그중 추나요법은 한의사가 손 또는 신체의 일부분을 이용하거나 추나 테이블 등의 보조 기구를 이용해 환자의 신체구조에 유효한 자극을 가해 인체의 구조적•기능적 문제를 치료하는 한방 수기요법이다. 이는 틀어진 뼈와 관절을 교정하여 풀어주고 과도하게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 건, 인대와의 부조화를 바로 잡아준다. 단순히 뼈를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경근육계 및 근골격계의 불균형과 부정렬이 있는 환자에게 필요한 진단, 추나 치료, 치료 후 평가 등 총체적 과정을 포함하는 의미다.

송조 바로추네트워크 인천점 약선당부부한의원 원장은 “추나요법의 활용 범위는 매우 다양하다. 디스크 탈출에 의한 극심한 통증 및 척추 질환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각종 근골격계 통증(견갑대, 골반), 턱관절장애, 두통, 소화불량 같은 내과 질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응용할 수 있다”며 ”다만 증상에 맞게 정확히 적용되어야 하며, 상태에 맞지 않는 과한 방법은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추나요법은 지난해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환자들이 부담 없이 치료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