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차 사고 잦은 봄 환절기, 가벼운 접촉사고도 교통사고 후유증 남아 주의해야

 

봄 환절기는 차량의 이동량이 늘어나면서 차 사고가 잦아지는 계절이다. 

특히 기온 차이로 인한 안개를 비롯해 꽃샘추위로 인한 빙판길 등에 따른 추돌사고 발생률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다만 교통사고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고 이후 부상 여부를 최우선으로 살펴야 한다. 

교통사고는 가벼운 접촉사고를 당했을 때도 꼼꼼히 짚어 후유증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연수구 약선당부부한의원 송조 원장은 "교통사고 후유증은 교통사고 이후 나타나는 모든 증상을 통틀어 일컫는다. 

대개 사고 당일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도, 하루 이틀 이상 잠복기가 지나면 통증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다. 심하면 한 달 뒤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후유증의 주요 증상은 목과 어깨, 허리 통증을 비롯해 어지럼증, 두통, 불면증, 이명, 청력 및 시력 감소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증상을 방치할 경우 만성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또한 "한의원에서는 후유증의 원인을 어혈로 꼽는다. 

어혈은 교통사고 등의 외부충격 발생 시 정상 순환되지 않고 정체된 신체의 혈액이 체내 곳곳을 돌아다니며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일컫는다. 

내출혈로 몸 내부에 고인 혈전을 어혈이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혈은 개인 체질에 맞는 한약을 처방해 치료할 수 있다. 한약 처방 이후에는 통증 원인 부위에 약침액을 넣는 약침 요법, 숙련된 한의사가 근육과 인대를 찾아 손이나 신체 일부분을 이용해 유효한 자극을 주거나 부드럽게 풀어주는 추나요법을 시행한다"고 한다.

특히 "추나요법 목에서 골반까지 척추 전체 형태와 기능을 바로잡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경락과 경혈에 적절한 자극을 줘 뭉친 연부 조직을 풀어주며, 기혈을 정상 순환시켜 통증을 줄인다"고 전했다.

만약 "교통사고 후유증이 심하다고 판단되면 입원가능한 시설에서 치료가 권장되기도 한다. 입원치료는 꾸준한 모니터링과 섬세한 증상별 맞춤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다만 개인의 체질과 상태에 맞는 식사나 운동 치료 등을 받을 수 있는 시설이 잘 갖춰진 한의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출처 : 환경일보(http://www.hkbs.co.kr)